2020년 건강보험료로 중위소득 100% 확인하는 방법
코로나 긴급지원금 때문에
2020년 기준 중위소득을 알아보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
내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몇 %에 해당 하는지 아신다면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복지정책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용이할 것 같아요.
2020년 기준 중위소득표
4인 가구일 때 소득이 월 4,749,174인 경우가 중위소득 100%인 건 알겠어요.
그런데 내가 100% 에 해당하는건지...
직장에 다시는 분들 중에는 월급만 받으시는 분도 있지만
임대소득, 이자소득, 연금소득, 기타사업소득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잖아요.
개인사업자분들은 더욱 헷갈리실 것 같아요.
제가 그렇거든요.🙄 나만 그런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어떻게 확인할까요?
위의 표를 보시면 지원대상에 포함 여부가 어느 정도 판단이 될 수 있지만
세부 소득 내용은 보건복지부 사회보장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소득 조회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하네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중 노인장기요양보험료(건강보험료의 6.55%)를 제외한 금액)
기준 중위소득 120% 기준 (건강보험료)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3,590,000 |
120,068 |
107,954 |
121,451 |
3인 |
4,645,000 |
156,170 |
155,683 |
158,243 |
4인 |
5,699,000 |
192,080 |
199,256 |
195,200 |
5인 |
6,753,000 |
228,710 |
243,851 |
233,076 |
6인 |
7,808,000 |
260,770 |
281,687 |
268,311 |
7인 |
8,868,000 |
298,124 |
320,200 |
311,116 |
8인 |
9,928,000 |
343,406 |
368,522 |
368,580 |
9인 |
10,988,000 |
368,580 |
393,349 |
402,261 |
10인 |
12,048,000 |
402,261 |
426,790 |
437,059 |
기준 중위소득 140% 기준 (건강보험료)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4,189,000 |
140,649 |
136,471 |
142,519 |
3인 |
5,419,000 |
183,101 |
188,153 |
185,993 |
4인 |
6,649,000 |
224,298 |
238,415 |
228,710 |
5인 |
7,879,000 |
268,311 |
289,976 |
276,843 |
6인 |
9,109,000 |
311,116 |
333,411 |
326,561 |
7인 |
10,346,000 |
368,580 |
393,349 |
402,261 |
8인 |
11,582,000 |
402,261 |
426,790 |
437,059 |
9인 |
12,819,000 |
437,059 |
462,265 |
471,545 |
10인 |
14,056,000 |
471,545 |
495,914 |
519,517 |
기준 중위소득 170% 기준 (건강보험료)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5,086,000 |
171,908 |
175,145 |
174,636 |
3인 |
6,580,000 |
220,167 |
233,499 |
224,298 |
4인 |
8,074,000 |
276,843 |
298,842 |
286,647 |
5인 |
9,567,000 |
326,561 |
349,099 |
343,406 |
6인 |
11,061,000 |
402,261 |
426,790 |
437,059 |
7인 |
12,563,000 |
437,059 |
462,265 |
471,545 |
8인 |
14,064,000 |
471,545 |
495,914 |
519,517 |
9인 |
15,566,000 |
519,517 |
544,044 |
602,065 |
10인 |
17,068,000 |
602,065 |
617,910 |
767,816 |
서울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 신청(3.30~5.15)
https://wis.seoul.go.kr/main.do
서울복지포털
서울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 신청(3.30~5.15)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 안내사항 신청 대상 :2020.3.18. 0시 기준 서울시 거주가구, 중위소득 100% 이하 신청 제외자 : 기존의 정부지원 혜택가구 제외 신청인의 출생연도 마지막 자리에 따라 요일별 접수 저소득층 한시생활지원사업(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특별돌봄쿠폰(아동수당) 긴급복지지원 또는 서울형 긴급복지지원(생계비) 코로나19 생활지원비 지원(14일 이상 입원·격리자) 코로나19 유급휴
wis.seoul.go.kr
1차로 행복e음시스템에서 소득 조회, 확인 후 지급이 결정 된다고 합니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은
지자체 공무원의 복지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행정 내부시스템입니다.
지자체에서 복지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에게만 사용자ID를 발급하고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제 중위소득이 몇 %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을까 하고
열심히 주소를 찾았더랬죠.😒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위반 과태료 얼마나 될까요?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위반 과태료 얼마나 될까요? MINI찐이에요. 아파트 주차장이나 공공주차장에서 그려져 있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자가용 사용자가 많아서 어디를 가든 항상 주차..
jjin-mini.tistory.com
'알아둬야 할, 알면 좋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통장 신청 or 전환 (구비서류) (9) | 2020.04.02 |
---|---|
2020년 경기도 청년 노동자 지원 사업 - 제조기업 근로자 (마이스터 통장) (18) | 2020.04.01 |
4월 1일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17) | 2020.03.31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위반 과태료 얼마나 될까요? (18) | 2020.03.27 |
저작물 사용 허가 CCL 표기 안내 - 저작물 공유? 저작권? (22) | 2020.03.18 |
댓글